카테고리 없음

주식 초보자를 위한 핵심 용어 10가지

winterie 2025. 3. 8. 14:00

주식 초보자를 위한 핵심 용어 10가지! (실제 사례 포함)

---

1. PER (주가수익비율) – 이 회사, 비싼 걸까?

**PER (Price Earnings Ratio)**은 기업의 주가가 그 회사의 이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
✔ 공식:
PER = 주가 ÷ 주당순이익(EPS)

✔ 예시:
삼성전자 주가가 80,000원이고, 1주당 순이익(EPS)이 5,000원이면,
➡ PER = 80,000 ÷ 5,000 = 16

즉, 이 회사의 이익을 고려했을 때 투자금 회수까지 약 16년이 걸린다는 의미입니다. 일반적으로 PER이 낮으면 저평가된 주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.


---

2. PBR (주가순자산비율) – 이 주식, 싸게 거래 중일까?

**PBR (Price to Book Ratio)**은 주가가 회사의 자산 가치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보여줍니다.

✔ 공식:
PBR = 주가 ÷ 주당순자산(BPS)

✔ 예시:
현대차 주가가 200,000원이고, 주당순자산가치(BPS)가 100,000원이라면,
➡ PBR = 200,000 ÷ 100,000 = 2

PBR이 1 미만이면, 회사의 자산 가치보다 주가가 싸다는 의미로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
---

3. EPS (주당순이익) – 이 회사, 돈을 잘 벌까?

**EPS (Earnings Per Share)**은 한 주당 벌어들이는 순이익을 의미합니다.

✔ 공식:
EPS = 순이익 ÷ 총 발행주식 수

✔ 예시:
카카오의 순이익이 1조 원이고, 발행 주식 수가 5억 주라면,
➡ EPS = 1조 ÷ 5억 = 2,000원

즉, 카카오는 1주당 2,000원의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뜻입니다. EPS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좋은 기업입니다.


---

4. ROE (자기자본이익률) – 투자 대비 수익률은?

**ROE (Return on Equity)**는 기업이 자기자본을 활용해 얼마나 이익을 내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
✔ 공식:
ROE = (순이익 ÷ 자기자본) × 100%

✔ 예시:
SK하이닉스의 순이익이 5조 원이고 자기자본이 50조 원이면,
➡ ROE = (5조 ÷ 50조) × 100 = 10%

즉, SK하이닉스는 자기자본 대비 10%의 이익을 내고 있다는 뜻입니다.


---

5. 배당수익률 – 배당주는 얼마나 받을까?

**배당수익률 (Dividend Yield)**은 주가 대비 1년 동안 받을 수 있는 배당금의 비율입니다.

✔ 공식:
배당수익률 = (주당배당금 ÷ 주가) × 100%

✔ 예시:
KT가 1주당 2,000원의 배당금을 주고, 주가가 40,000원이라면,
➡ 배당수익률 = (2,000 ÷ 40,000) × 100 = 5%

즉, KT 주식을 보유하면 연간 5%의 배당 수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
---

6. 상한가·하한가 – 하루 최대 얼마까지 변동할까?

상한가와 하한가는 주식이 하루 동안 오르거나 내릴 수 있는 최대 한도를 의미합니다.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 한도는 ±30%입니다.

✔ 예시:
카카오 주가가 50,000원에서 시작했는데 **상한가(30%)**까지 상승하면,
➡ 상한가 가격 = 50,000 × 1.3 = 65,000원

반대로 **하한가(-30%)**라면,
➡ 하한가 가격 = 50,000 × 0.7 = 35,000원


---

7. 공모주 (IPO) – 주식시장 첫 등판!

**공모주(IPO, Initial Public Offering)**는 기업이 처음으로 일반 투자자에게 주식을 공개적으로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.

✔ 예시:
카카오뱅크가 2021년 공모가 39,000원에 상장되었으며, 상장 첫날 52,500원까지 상승했습니다.

➡ 공모주에 당첨된 투자자들은 상장 후 큰 수익을 거둘 수도 있지만, 반대로 공모가보다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.


---

8. 유상증자 vs 무상증자 – 주식 늘리기 전략

유상증자: 기업이 자본금을 조달하기 위해 신주를 발행하고 돈을 받고 판매.
✔ 예시: 삼성전자가 1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하면, 기존 주주들은 새 주식을 살 기회를 가짐.

무상증자: 주주들에게 돈을 받지 않고 추가 주식을 나눠주는 방식.
✔ 예시: 현대차가 기존 주식 1주당 1주를 추가 지급하는 무상증자를 하면, 주주는 보유 주식이 두 배로 늘어남.



---

9. 매수·매도 – 주식을 사고팔자!

✔ 매수 (Buy): 주식을 사는 것.
➡ A씨가 삼성전자 주식을 100주 매수하면, A씨는 삼성전자 주주가 됩니다.

✔ 매도 (Sell): 주식을 파는 것.
➡ B씨가 네이버 주식 50주를 매도하면, B씨의 네이버 주식 보유량이 줄어듭니다.


---

10. 신용거래 – 빚 내서 주식 투자?

**신용거래(Margin Trading)**는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입니다.

✔ 예시:
투자자 C가 1,000만 원이 있는데, 증권사에서 1,000만 원을 추가로 빌려 총 2,000만 원어치 주식을 매수했습니다.
➡ 주가 상승 시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, 하락하면 빌린 돈도 갚아야 하므로 위험성이 큽니다.


---

마무리 – 주식 공부는 필수!